탈코르셋은 금욕 운동이 아니다


이민경 작가는

"탈코르셋 운동은 좋은 걸 포기하는 게 아니라

무엇이 좋은지 새롭게 찾아가는 것" 이라고 말한다.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는 무수한 페미니즘 이슈가 쏟아졌고, 그 흐름은 이따끔 페미니스트들조차 따라잡기 힘든 급류를 이루기도 했다. 이민경 작가는 이토록 급박하게 진행되는 운동의 한가운데서 지금 우리가 함께 이야기할 것이 무엇인지 기민하고도 성실하게 제시해온 연구자이자 활동가다.  

성차별에 대응하는 언어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입이 트이는 페미니즘》,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 《우리에게도 계보가 필요하다》, 임금차별 《잃어버린 임금을 찾아서》, 임신중지 《유럽 낙태 여행》(공저)에 이어 그가 주목한 의제는 탈코르셋이다. 신작 《탈코르셋: 도래한 상상은 탈코르셋 운동에 참여한 여성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 운동의 다양한 양상과 전략, 효과를 의미화한 책이다. 이른바 '탈코 세대'를 위한 이론서이자, 이 운동을 낯설어하는 이들을 위한 번역서라고도 할 수 있다.


인터뷰 최지은 (기자 · 《괜찮지 않습니다》 저자)





Q. 그동안 여러 주제의 책을 쓰셨는데, 이번 책의 동력은 무엇이었나요?

A. 이 책 전까지 저는 기승전결이 머릿속에 딱 떠올라서 쭉쭉 쓰는 글쓰기만 해왔고, 이 방식이 아니면 절필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제 자신이 작가로 소개되는데, 쓸모없는 글을 쓰면 안 된다는 두려움이 있었죠.
제가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입이 트이는 페미니즘으로 세상에 나온 건 강남역 살인사건 때문이고 여성과 연대하기 위함이지, 저를 작가로 만들기 위함이 아니었다는 걸 입증해야 한다는 일종의 '여성적인' 결벽이 있었어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무욕하고자 하는 강박을 넘어서야 한다는 마음도 있었어요. 남자들의 과도한 자의식이 짜증나는 것과 반대로, 여자들의 검박하고 겸허한 태도가 멋있다고 여기면서도 그 길을 따라 가고 싶지는 않았거든요.



Q. 다양한 여성의 경험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운 책이 되었을 텐데, "에세이처럼 다가가는 대신 보다 건조한 접근을 택했다"고 쓰셨어요.

A. 지금 대학원에서 공부하는 문화인류학이 이런 식의 '아무나의 아무 얘기'를 다루는 질적 방법론을 써요. 아직 학위를 받지 않았고 정밀하게 방법론을 갈고 닦지 않았으니 이번 책을 문화인류학 연구서라고 말하지는 않겠지만, 저는 '탈코 여성'에게 각자의 서사가 있는 동시에 함께 만든 운동의 서사도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 '아무 얘기'가 파편화된 한 편의 얘기가 아니라 조직된 이야기고 운동의 지형 안에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어요. 


Q. 탈코르셋 운동은 다른 페미니즘 이슈와 달리 여성들 사이에서도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성차별적 시스템이나 남성들의 여성혐오처럼 외부와 맞서는 것이 아니라 여성 개개인의 욕망과 맞닿아 있어서요.

A. 탈코르셋은 금욕 운동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어요. 으레 '욕망'이라고 자연시되는 부분에 과하게 투여했던 자원을 중단해보자는 캠페인이죠. 시간과 자원은 제한돼 있는데 옷이나 화장에 엄청난 돈과 시간을 쓰는 경우가 많았잖아요. 탈코르셋으로 그런 욕망과 거리를 확 두고 나면, 이 자원을 다른 데 쓸 수 있다는 걸 경험하게 돼요.
그러니까 꾸밈 노동에 대해 '자기만족 vs 사회적 세뇌'로 싸울 게 아니라, 왜 그것을 했고, 후에 어떤 일이 벌어졌으며, 그로 인해 우리가 괴로워했거나 놓쳤던 게 무엇인지 돌아보는 게 가능해진다는 거죠.
 


저는 왜 탈코르셋을 제대로 보지 않고

'더 많은 것'부터 얘기하는지 모르겠어요.

이 안에 이미 많은 게 들어 있는데.


Q. 탈코르셋 운동은 결국 미용, 패션, 성형 산업의 엄청난 공세와 맞서야 하는데 어떻게 더 뚜렷한 힘을 얻을 수 있다고 보시나요.

A.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해서 숫자로 드러낼 필요가 있어요. 예전엔 자연스러운 선택지였던 하이힐이 더는 신발로 보이지 않고, 엄청난 종류의 색조 화장품이나 다이어트 보조제에 관심을 갖지 않게 되죠. 탈코르셋은 어떤 욕망에 반응하지 않도록 자신의 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지 아름다움과 쾌락을 버리는 게 아니에요. 여성비하적 개그엔 더 이상 웃지 않아도 개그 자체에 웃음을 잃는 건 아닌 것처럼.

Q. 탈코르셋과 관련해 다른 작업도 계획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A.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등을 통해 여자아이들을 가진 부모가 코르셋을 어떤 방식으로 왜 강화하는지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어요. 교사 분들과 만나서 탈코르셋이 어떻게 학교 내 페미니즘 의제가 될 수 있는지 논의할 예정이고요. 이성애자 여성이 탈코르셋 했을 때 일어나는 데이트폭력이나 그 관계로부터의 탈출에 관해서도 연구하고 싶어요.
간혹 "탈코르셋은 무식한 애들이 반지성주의적으로 하는 거지.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어?" 하고 깎아내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태도가 더 무식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탈코르셋이라는 창을 통해 볼 수 있는 세상이 무궁무진하다고 믿고, 그 안으로 더 들어가 관찰하고 싶어요.


─《우먼카인드》 9호, '선을 넘는 목소리' 중에서
 


우먼카인드 9호 탈코르셋을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