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이두호
1943년 7월 5일 대구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학과 입학 후 만화를 그리기 시작, 1969년〈소년중앙〉창간호에 「투명인간」연재를 시작으로 만화계에 정식 데뷔했다. 그후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소년, 소녀 만화를 그렸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조선시대 민초들의 삶에 시선을 옮겨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만들어냈다. 특히「객주」는 역사를 바라보는 명확한 사관과 고증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9년 제2회 YMCA '우수만화 작가상'수상, 1993년 제6회 YMCA '우수만화 작가상'수상, 1995년에는 '한국만화문화상(문화체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한국 간행물 윤리위원회 위원, 한일 문화정책 자문위원, 초대 SICAF(서울 국제 만화 애니메이션 페스티발)운영위원, 한국 만화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세종대학교 만화 애니메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표작으로는 「폭풍의 그라운드」「머털도사와 108 요괴」「바람소리」「객주」「임꺽정」등이 있다.
그린이 : 이두호
1943년 7월 5일 대구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학과 입학 후 만화를 그리기 시작, 1969년〈소년중앙〉창간호에 「투명인간」연재를 시작으로 만화계에 정식 데뷔했다. 그후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소년, 소녀 만화를 그렸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조선시대 민초들의 삶에 시선을 옮겨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만들어냈다. 특히「객주」는 역사를 바라보는 명확한 사관과 고증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9년 제2회 YMCA '우수만화 작가상'수상, 1993년 제6회 YMCA '우수만화 작가상'수상, 1995년에는 '한국만화문화상(문화체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한국 간행물 윤리위원회 위원, 한일 문화정책 자문위원, 초대 SICAF(서울 국제 만화 애니메이션 페스티발)운영위원, 한국 만화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세종대학교 만화 애니메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표작으로는 「폭풍의 그라운드」「머털도사와 108 요괴」「바람소리」「객주」「임꺽정」등이 있다.
저자소개
지은이 : 이두호
그린이 : 이두호
책정보 및 내용요약
독자들의 끊임없는 요구에 힘입어 13년 만에 전격 재출간!
<만화 객주>는 김주영의 동명소설 <객주>를 한국 만화의 대가 이두호가 새롭게 구성하고 그려 낸 역사만화다. <만화 객주>는 원작소설의 묘미를 살려내면서도 만화의 장점을 훌륭하게 살린 작품으로 한국 역사만화의 대표작으로 꼽혀왔다.
<만화 객주>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5년 동안 <매주만화>에 연재되다가 1992년 풀빛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처음 출간되었다. 2002년 새로운 장정과 편집으로 바다출판사에서 재출간, ‘만화의 고급화’ ‘소장하고 싶은 만화’로 한국 만화의 위상을 높였다. 이후 한동안 절판되어 독자들의 안타까움을 샀고, 출판사로 <만화 객주>의 출간 문의가 끊이지 않았다. <만화 객주>를 소장하고 싶었던 독자들이 한때 중고시장에서 10권 세트에 7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판은 <만화 객주>를 소장하고 싶은 독자들의 끊임없는 재출간 요청으로 13년 만에 드디어 새로운 모습으로 독자들을 찾아가게 된 것이다. 특별히 이번 개정판 전집에는 바다출판사 편집부가 만든 <객주 우리말 사전>이 무료로 제공돼 청소년들도 <만화 객주>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했다.
편집자 추천글
독자들의 끊임없는 요구에 힘입어 13년 만에 전격 재출간!
<만화 객주>는 김주영의 동명소설 <객주>를 한국 만화의 대가 이두호가 새롭게 구성하고 그려 낸 역사만화다. <만화 객주>는 원작소설의 묘미를 살려내면서도 만화의 장점을 훌륭하게 살린 작품으로 한국 역사만화의 대표작으로 꼽혀왔다.
<만화 객주>는 1988년부터 1993년까지 5년 동안 <매주만화>에 연재되다가 1992년 풀빛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처음 출간되었다. 2002년 새로운 장정과 편집으로 바다출판사에서 재출간, ‘만화의 고급화’ ‘소장하고 싶은 만화’로 한국 만화의 위상을 높였다. 이후 한동안 절판되어 독자들의 안타까움을 샀고, 출판사로 <만화 객주>의 출간 문의가 끊이지 않았다. <만화 객주>를 소장하고 싶었던 독자들이 한때 중고시장에서 10권 세트에 7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판은 <만화 객주>를 소장하고 싶은 독자들의 끊임없는 재출간 요청으로 13년 만에 드디어 새로운 모습으로 독자들을 찾아가게 된 것이다. 특별히 이번 개정판 전집에는 바다출판사 편집부가 만든 <객주 우리말 사전>이 무료로 제공돼 청소년들도 <만화 객주>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작품 속 아름다운 우리말을 친절하게 정리 한, 특별부록 <객주 우리말 사전>
‘작가들의 우리말 교과서’로 불릴 정도로 순 우리말, 은어, 사투리를 잘 살려낸 <객주>는 우리말 공부에 소중한 자료가 되는 반면 오늘날 독자들이 작품을 읽어가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각 페이지마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낯선 우리말이 등장하고 있어서 마음먹고 읽어 보려고 해도 진도가 잘 나가지 않았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객주 우리말 사전>을 특별부록으로 구성하여, 책을 읽어 가면서 모르는 단어가 나올 때 바로 찾아볼 수 있도록 권별로 단어를 정리했다. 또 가나다 순으로 다시 한번 더 정리하여 우리말 공부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성인뿐 아니라 우리 고유어에 낯선 중고등학생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조선 후기 보부상들의 언어와 생활상을 그대로 재현한 소중한 자료
<만화 객주>는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주인공 천봉삼이 상단의 일원에서 우두머리가 되기까지 겪었던 수많은 사건과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소설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들을 그림과 글의 조합인 만화라는 매체를 통해 제대로 구현해 내고 있다. 특히 조선의 살림집과 삶의 언어에 집착하는 작가의 노력과 탐구심은 그림 한 컷 한 컷마다 엿볼 수 있다. 단순히 초가집과 기와집의 구분이 아니라 웅장함과 소박함, 번듯함과 초라함을 구문하는 작가의 모습에서, 또 집단 언어라 할 수 있는 보부상들의 은어, 사투리, 지금은 청도의 우시장에서나 간혹 들을 법한 쇠전꾼들의 입담이 고스란히 녹아 있어서, 원작의 리얼리티는 물론 조선 후기 보부상들의 언어를 그대로 재현한 토속 언어 자료로도 전혀 손색이 없다.
살아 숨 쉬는 다양한 인물 군상의 향연 <만화 객주>
<만화 객주>에는 주인공 천봉삼뿐 아니라. 조선 후기 격변의 시대를 맨몸으로 살아야 했던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선과 악은 물론 신분의 상하, 권력과 재력의 유무 등 <만화 객주>가 표현해 내는 인물과 시대의 갈등은 시대극이 주는 역사성과 더불어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그리고 이들은 조선 후기의 당대의 갈등 구조와 더불어 시대를 넘는 인간의 보편적 전형을 상징하고 있기도 하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정의와 이기라는 양면성, 각자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두 개의 자아, 이들이 서로 동전의 양면처럼 한 인간을 형상화하며 동시에 시대적 전형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천봉삼과 같은 순수하고 정의로운 인물, 약아빠진 길소개 또한 <만화 객주>에서는 ‘역사적 전형성’을 획득하며 제 몫을 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