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가와이 하야오(河合隼雄)
일본인이 가장 존경하는 마음 전문가이자 융 심리학의 일인자로 평가받는 지성인. 1928년 효고현에서 태어났다. 교토대학교 이학부 수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를 거쳐 1962년 스위스 융 연구소에 들어간 후 일본인 최초로 ‘융 학파 분석가’ 자격을 취득했다. 국제미니어처가든요법학회, 일본임상심리사회를 설립하는 등 융 심리학을 전파하고 실천하는 일에 평생을 바쳤고, 신화나 옛이야기, 어린이 문학, 그림책,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저서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해왔다. 인간 삶의 밑바닥을 흐르는 중요한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이어지길 바라며 학술 연구와 교양서 집필, 유머 넘치는 대중강연을 병행했다. 교토대학교 교수 및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소장을 지냈고, 2002년부터 5년간 일본 문화청 장관을 역임했다. 2007년에 세상을 떠났다. 지은 책으로 《콤플렉스》, 《하루키, 하야오를 만나러 가다》, 《그림책의 힘》, 《아이들의 우주》 등이 있다.
옮긴이 : 김지윤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및 일본어과 졸업. 세이신여자대학교에서 교환유학 후 와세다대학교 대학원 일본어교육학과에서 공부했다. 글밥아카데미를 수료하고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그렇다면, 칸트를 추천합니다》, 《이방인: 세계의 차별을 여행하다》, 《여자아이는 정말 핑크를 좋아할까》 등이 있다.
엮은이 : 가와이 도시오
1957년 나라현 출생. 교토대학교 교육학 연구과 박사. 융 학파 분석가 자격을 취득하고, 교토대학교 ‘마음의 미래 연구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임상심리 이론》, 《개념의 심리치료법》 등이 있다.
저자소개
지은이 : 가와이 하야오(河合隼雄)
옮긴이 : 김지윤
엮은이 : 가와이 도시오
책정보 및 내용요약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가”
《카를 융, 인간의 이해》는 일본 융 심리학계의 거장, 가와이 하야오가 쓴 융 심리학 입문서이다. 1967년, 첫 발간 이래로 수십 년간 독자들의 찬사를 받으며 일본의 ‘융 심리학 교과서’로 자리 잡았다. 이 책은 한 인간의 기본 성향과 외적으로 보이는 행동을 관찰하고, 무의식 안에 숨기고 있던 콤플렉스의 존재를 드러낸다. 나아가 꿈이라는 마음의 현상을 통해 개개인이 각자의 콤플렉스를 어떻게 자아 안에 통합할 수 있는지, 또 진정한 자아실현을 연구한 융 평생의 노력을 따뜻한 문체로 설명한다. 이 책은 저자 가와이 하야오가 2009년 작고한 이후 ‘심리치료법’ 컬렉션 시리즈를 통해 재출간되었다. 42년 만의 재출간이었다.
일본 융 심리학의 거장, 가와이 하야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저자 가와이 하야오는 일본인 최초로 ‘융 심리학’을 일본에 소개한 사람으로, 일본인이 가장 존경하는 마음 전문가이자 일본 융 심리학계의 거장으로 불린다. 그는 학술 분야에서의 업적을 세웠음은 물론 《아사히 신문》에 일반 독자를 상대로 고민 상담을 해주는 코너를 연재했고, 유머 넘치는 대중 강연 활동을 하며 대중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일본에서는 유례없이 문화청 장관을 세 차례 역임하기도 했다.
가와이 하야오는 융 심리학을 기반으로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보며 ‘인간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 더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해 자아를 실현하는 과정 등을 오랫동안 탐구해왔다. 하야오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유일하게 선생님이라고 부른 사람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하루키는 이렇게 말했다.
목차
제1장 성격유형
1. 인간의 유형 | 2. 일반적 경향 ‘내향형-외향형’ | 3. 네 가지 심리기능
4.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보완성
제2장 콤플렉스
1. 연상실험 | 2. 콤플렉스의 현상 | 3. 콤플렉스의 해소
제3장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
1. 집단 무의식 | 2. 원형 | 3. 그림자
제4장 심상과 상징
1. 심상 | 2. 상징, 그 창조성 | 3. 심리치료법에서 심상이 가지는 의의
제5장 꿈 분석
1. 꿈의 의의 | 2. 꿈의 기능 | 3. 꿈의 구조 | 4. 꿈 분석의 실제 | 5. 죽음과 재생의 모티브
제6장 아니마·아니무스
1. 페르소나와 마음 | 2. 아니마 | 3. 아니무스
제7장 자기
1. 개성화 과정 | 2. 자기의 상징적 표현 | 3. 자기실현에 있어서의 ‘시간(때)’
○ 도서 안내 융 심리학을 더 배우고 싶은 독자에게_가와이 도시오
○ 해설 몇 번이고 돌아봐야 하는 ‘고전’_모기 겐이치로
○ 엮은이의 말 ‘심리치료법’ 컬렉션 간행에 즈음하여_가와이 도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