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속에는 나무가 자란다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수마나 로이 지음│남길영·황정하 옮김│359쪽│16,800원│138*214mm│2024년 1월 26일
ISBN 979-11-6689-207-3 03890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나무의 시간은 미래를 걱정하지 않으며
과거를 후회하지 않는다.
햇볕이 내리쬐면 꿀꺽 삼키고 먹는다. 밤이 오면 쉰다.”
나무가 되려고 한 인간이 현실에 존재하는 방식
인도 시인 수마나 로이는 기계적인 속도에 지쳐있었다. 같은 인간이면서도 서로를 대하는 편협한 태도에 지쳤고, 소음에 지쳤다. 반면 나무는 가지를 뻗고, 열매를 맺고, 그늘을 드리우는 모든 일을 침묵 속에서 이뤄내고 있다. 문명과 기계의 역사보다도 긴 역사를 나무는 투쟁과 폭력 없이 지켜냈다. 로이는 그런 나무를 탐하고 욕망하기 시작하면서 돌이킬 수 없는 사유의 뿌리를 내린다. 그의 은유적 상상력은 깊이와 넓이의 한계를 모르고 자라는 나무처럼 거대해지고, 시인의 언어는 점점 나무의 활자를 닮아간다. 수마나 로이는 비인간의 감각으로 독특한 작품 세계를 완성하고, 더 나아가 ‘식물-되기’의 새로운 모습을 제안한다.
“나는 속도에 질려버렸다. 나무의 시간을 살고 싶었다.”
‘나무의 리듬’은 우리의 순수한 욕망이자, 본성이며
가장 오래된 친구에게 전해 듣는 삶의 태도이다
수마나 로이는 자국에 존재하는 계급과 명예 살인, 성차별과 폭력 문제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인간의 새로운 존재 방식을 탐구한 인도의 가장 독창적인 현대 시인이다. ‘식물-되기’의 욕망은 로이의 시와 소설 작품 전반에서 드러나는 창작의 동기이자 이상향이다. ‘나무가 되고 싶다’라는 이 낯선 욕망은 수마나 로이 특유의 은유적 상상력이 더해져, 미지의 세계로 우리를 데려가고, 지금까지 본 적 없는 나무를 만나게 한다.
이 책은 나무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이 편협하고 차별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관점은 우리 인간이 서로를 바라보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데까지 도달한다. 우리는 나무를 사랑한다고 하면서 나무의 열매와 꽃, 줄기, 수액까지 착취해 왔다. 수마나 로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무엇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 모든 것을 착취해 오지는 않았는지 묻고 있다. 나무의 목소리와 나무의 생각, 나무의 역사까지도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혹은 듣지 못했다는 식으로 착취했다고 말이다.
수마나 로이는 어린 시절 한 장면을 떠올린다. 그 장면에서 나무의 본성을 복기하고, 나무에 대한 자신만의 사유를 자유롭게 뻗어나가기 시작한다. 형제 중 유독 병약했던 로이는 방안에서 혼자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그런 로이의 몸 위로 창문을 통해 들어온 야자수 이파리의 그림자가 덮였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와 움직이는 그림자를 느끼며 로이는 처음으로 자유를 꿈꾼다. 나무의 리듬과 방식은 자연 그 자체에 가까웠다. 이에 로이를 기계의 속도나 소음에서 기인한 불안과 피로에서 해방시켜 줄 수 있는 것은 오직 나무의 리듬뿐이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나무는 악한 사람에게 산소를 내주지 않는 식으로 행동할 수는 없으며, 나무 그늘에서는 도둑이나 적, 나 자신도 구분이 어렵다. 생김새나 성별, 계급 같은 것으로 차별당하거나 차별하는 일도 없다. 로이도 나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로이는 숲으로 들어가 바람에 스치는 온갖 나무의 나뭇잎 소리를 녹음하고, 나무 이야기가 기록된 경서와 각종 책을 탐독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자신이 경험한 나무의 모든 시간을 시인의 언어로 적기 시작한다. 끝내 그는 ‘나무-되기’의 육체적·정신적 한계를 뛰어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나무와의 일체화를 이룬다.
“어느 날 나무 아래 앉아 있던 나는 내 그림자가 나무 그림자와 합쳐지는 것을 지켜보았다. 어느덧 내 그림자가 나무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사라져 나무 반대쪽에 있는 사람에게는 내가 전혀 안 보이게 되었다.”(119쪽)
한 번도 공들여 보거나 듣지 못한
나무의 역사, 나무의 목소리, 나무의 심장
시인의 언어로 받아적다
“내 심장과 뇌와 신장이 이미 식물과 비슷하게 생겼으니 얼마나 멋진 일인가?”라는 시인의 감탄은, 그가 욕망하는 대상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그가 언어의 힘을 얼마나 믿고 있는지 보여준다.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 이제는 기계의 언어까지 우리 사회에 자리 잡았다. 사회에서 언어는 존재의 증거이며, 소통의 도구이다. 그렇다면 언어가 없는 나무는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나무는 정말 언어가 없을까? 표정과 목소리의 높낮이, 제스처가 없는 나무는 어떻게 고통을 표출하며, 자신이 그 자리에 있음을 주장할 수 있을까?
인도의 식물학자 J. C 보스는 야생화 도둑놈의갈고리의 심장 박동과 같은 리듬을 듣고 기록할 수 있는 기계 ‘프토그래프’를 발명했다. 또한 외부 자극에 어떻게 반응을 하는지 식물을 꼬집고 고문한다. 그는 우리가 “의도적인 편견”을 버리면 식물이 직접 말을 걸어올 거라 기대했다. 하지만 로이는 이에 반대한다. 우리가 굳이 나무에게 반응을 이끌어낼 필요가 전혀 없으며, 나무는 언제나 그렇듯 침묵과 뿌리의 얽힘으로 말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눈에 보이고 귀에 들려야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이다.
또한 로이는 나무줄기보다는 나무뿌리를, 열매보다는 잎사귀를, 크기보다는 그림자를 관찰하고 이것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어쩌면 나무를 사랑하는 것과 욕망하는 것은 다른 것일지도 모른다. 로이는 나무를 욕망하고 있기 때문에 나무와 우리가 닮은 구석을 계속해서 발견하고, 만들어낸다. 볼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나무의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해 화분을 들고 엑스레이 촬영실을 찾아간다. 어린 시절에는 망고 열매 줍기 시합에서 망고 그림자를 바구니에 잔뜩 담아간 적도 있다. 로이는 아무리 낯설고 불가능해 보이는 욕망이더라도 자기 내부에 집중하여 맥락을 형성했고, 자기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당위성을 획득했다.
추천사
“아름답다. 모든 장에 걸쳐 과학, 자연, 개인적 서사, 문학, 사회학 등을 엮었다. 독자들이 계속 페이지를 넘기게 하고 우리 모두를 나무 애호가로 만든다.” -《더 럼퍼스》
“가장 독창적이고 유쾌하며 영감을 주는 책. 독특한 상상력, 유머러스한 문체, 관습에 대한 도전으로 독자를 매혹하고 감동시킬 것이다.” -예일대학교
“수마나 로이는 복잡하고 도발적인 방식으로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어 나무를 ‘낯선 이방인’으로, 우리가 생각하고 기억하는 동반자이자 우리 인간에게서 사랑과 증오, 무관심, 심지어 욕망을 끌어내는 외계 존재로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빛나고 경이로운 책을 썼다.” -로버트 맥팔레인, 《산에 오르는 마음》 저자
“수마나 로이는 길가메시 서사시만큼이나 오래된 주제, 혹은 살아있는 가장 오래된 나무만큼이나 오래된 주제를 신선하고 놀라운 방식으로 풀어썼다.”- 로버트 무어, 《온 트레일스》 저자
지은이 수마나 로이 Sumana Roy
인도의 시인이자 소설가. 첫 소설 《닭의 목에 걸린 사랑Love in the Chicken's Neck》이 2008년 '맨아시아문학상' 최종 후보에 오르며 문단에 등장했다. 이후 10년 만에 출간한 자전적 에세이 《내 속에는 나무가 자란다》는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문학상 '샤크티 바트상'과 '사히트야 아카데미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미국, 프랑스, 독일에 번역 출간되었으며, 《더 럼퍼스》 《도이칠란트풍크 쿨투어》 등 해외 평단에서 광대한 역사를 탐구한 방식과 독창적 상상력과 문체를 인정받았다. 현재 아쇼카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시집 《강의 계획서 밖에서Out of Syllabus》 《V. I. P 가장 중요한 식물V. I. P. Very Important Plant》, 소설 《실종Missing》 《엄마의 연인과 그 밖의 이야기들My Mother's Lover and Other Stories》 등이 있다.
옮긴이
남길영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기업체 및 대학에서 강의를 해오며 전문 번역가의 길을 걷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캐릭터의 탄생》 《교황 연대기》 《Dear Dad: 아빠 사랑해요》 《남자의 고전》 《내 이름은 버터》 《토니 스피어스의 천하무적 우주선》 《토니 스피어스와 수상한 물방울》 《잭과 천재들1: 지구의 끝 남극에 가다》 《잭과 천재들2: 깊고 어두운 바다 밑에서》 등이 있다.
황정하
연세대학교 전산과학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살인자들과의 인터뷰》 《개로 길러진 아이》 《나이 들어 외국어라니》 《진단명 사이코패스》 《자전거 세계여행》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교양 7》 《앙코르: 장엄한 크메르 문명》 외 다수가 있다.
책 속으로
먼 옛날에는 분명 사람도 나무와 같은 리듬으로 움직이며 같은 시간을 살았을 것이다.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누군가 태어나고 무언가 시작할 때마다 나무를 심었다. 〈나무의 시간으로 살기〉14쪽
나는 가끔 커다란 나무에 기대어 피사의 사탑을 생각한다. 사람들은 살짝 기울어진 건축물에 왜 그리 감탄할까? 가로, 세로는 물론 온갖 이상한 각도와 형태로 자라나는 나무의 뛰어난 능력에는 아무도 놀라지 않으면서. 〈식물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30쪽
나는 점점 잠깐 누리는 느린 시간에 중독되었다. 그 영향은 글에도 나타나기 시작해서 문장에서 구두점은 물론 단락 같은 단위도 점점 줄어들었다. 이런 것들은 느린 나무의 언어에 비해 너무 주제넘고 인위적인 것 같았다. 나무처럼 글을 쓰는 것이 가능할까? 〈나무 사진 찍는 방법〉97쪽
어스름 내리는 땅 위에서 팔다리와 그 그림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노닐고, 각도와 빛과 그 외 모든 것이 맞아떨어지는 운 좋은 날이면 나와 내 그림자는 어느새 나무가, 그것도 막 새잎이 움틀 것만 같은 가지를 마음껏 펼친 나무가 된다. 〈나무 그림자 되기〉123쪽
“이 장소의 이름이 뭐예요?”
“숲이라고 해.”
“여기서 쉴 수 있다는 뜻이네요.”
아이는 단어의 명백한 어원을 쪼개었고, 우리는 의자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로 고쳐 앉았다. 나는 그전까지 숲forest을 ‘휴식for rest’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숲에서 길을 잃는다는 것〉233쪽
목차
1장
나무의 시간으로 살기 11
언제나 꽃이었던 여자들 17
식물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 26
나무로 변신한 여자들 32
나무의 목소리를 듣다 42
2장
나무 그리는 방법 53
잎사귀의 매력적인 이야기 72
최초의 책은 나무다 82
강철 나무의 심장 89
나무 사진 찍는 방법 96
3장
나무의 초상화 101
열매 그림자 줍기 103
식물의 엑스레이 113
나무에게 빛을 먹이다 121
나무 그림자 되기 123
4장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정원 127
나무가 있던 어린 시절 145
5장
나무와의 로맨틱한 포옹 161
식물 애호의 징후들 168
6장
나의 식물 자손에게 185
식물학자의 슬픈 고백 190
정원이 품은 욕망 214
7장
숲에서 길을 잃는다는 것 235
신앙이 된 숲 249
숲이라는 아름다운 망각 252
8장
나무 아래, 행복한 땅 279
부처와 보리수 286
9장
죽음을 노래하는 나무들 311
나무로 다시 태어나다 331
나는 어떻게 나무가 되었나 345
에필로그 349
주 350
참고문헌 357
▼도서자료 다운로드▼
내 속에는 나무가 자란다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수마나 로이 지음│남길영·황정하 옮김│359쪽│16,800원│138*214mm│2024년 1월 26일
ISBN 979-11-6689-207-3 03890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나무의 시간은 미래를 걱정하지 않으며
과거를 후회하지 않는다.
햇볕이 내리쬐면 꿀꺽 삼키고 먹는다. 밤이 오면 쉰다.”
나무가 되려고 한 인간이 현실에 존재하는 방식
인도 시인 수마나 로이는 기계적인 속도에 지쳐있었다. 같은 인간이면서도 서로를 대하는 편협한 태도에 지쳤고, 소음에 지쳤다. 반면 나무는 가지를 뻗고, 열매를 맺고, 그늘을 드리우는 모든 일을 침묵 속에서 이뤄내고 있다. 문명과 기계의 역사보다도 긴 역사를 나무는 투쟁과 폭력 없이 지켜냈다. 로이는 그런 나무를 탐하고 욕망하기 시작하면서 돌이킬 수 없는 사유의 뿌리를 내린다. 그의 은유적 상상력은 깊이와 넓이의 한계를 모르고 자라는 나무처럼 거대해지고, 시인의 언어는 점점 나무의 활자를 닮아간다. 수마나 로이는 비인간의 감각으로 독특한 작품 세계를 완성하고, 더 나아가 ‘식물-되기’의 새로운 모습을 제안한다.
“나는 속도에 질려버렸다. 나무의 시간을 살고 싶었다.”
‘나무의 리듬’은 우리의 순수한 욕망이자, 본성이며
가장 오래된 친구에게 전해 듣는 삶의 태도이다
수마나 로이는 자국에 존재하는 계급과 명예 살인, 성차별과 폭력 문제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인간의 새로운 존재 방식을 탐구한 인도의 가장 독창적인 현대 시인이다. ‘식물-되기’의 욕망은 로이의 시와 소설 작품 전반에서 드러나는 창작의 동기이자 이상향이다. ‘나무가 되고 싶다’라는 이 낯선 욕망은 수마나 로이 특유의 은유적 상상력이 더해져, 미지의 세계로 우리를 데려가고, 지금까지 본 적 없는 나무를 만나게 한다.
이 책은 나무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이 편협하고 차별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관점은 우리 인간이 서로를 바라보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데까지 도달한다. 우리는 나무를 사랑한다고 하면서 나무의 열매와 꽃, 줄기, 수액까지 착취해 왔다. 수마나 로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무엇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 모든 것을 착취해 오지는 않았는지 묻고 있다. 나무의 목소리와 나무의 생각, 나무의 역사까지도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혹은 듣지 못했다는 식으로 착취했다고 말이다.
수마나 로이는 어린 시절 한 장면을 떠올린다. 그 장면에서 나무의 본성을 복기하고, 나무에 대한 자신만의 사유를 자유롭게 뻗어나가기 시작한다. 형제 중 유독 병약했던 로이는 방안에서 혼자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그런 로이의 몸 위로 창문을 통해 들어온 야자수 이파리의 그림자가 덮였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와 움직이는 그림자를 느끼며 로이는 처음으로 자유를 꿈꾼다. 나무의 리듬과 방식은 자연 그 자체에 가까웠다. 이에 로이를 기계의 속도나 소음에서 기인한 불안과 피로에서 해방시켜 줄 수 있는 것은 오직 나무의 리듬뿐이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나무는 악한 사람에게 산소를 내주지 않는 식으로 행동할 수는 없으며, 나무 그늘에서는 도둑이나 적, 나 자신도 구분이 어렵다. 생김새나 성별, 계급 같은 것으로 차별당하거나 차별하는 일도 없다. 로이도 나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로이는 숲으로 들어가 바람에 스치는 온갖 나무의 나뭇잎 소리를 녹음하고, 나무 이야기가 기록된 경서와 각종 책을 탐독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자신이 경험한 나무의 모든 시간을 시인의 언어로 적기 시작한다. 끝내 그는 ‘나무-되기’의 육체적·정신적 한계를 뛰어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나무와의 일체화를 이룬다.
“어느 날 나무 아래 앉아 있던 나는 내 그림자가 나무 그림자와 합쳐지는 것을 지켜보았다. 어느덧 내 그림자가 나무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사라져 나무 반대쪽에 있는 사람에게는 내가 전혀 안 보이게 되었다.”(119쪽)
한 번도 공들여 보거나 듣지 못한
나무의 역사, 나무의 목소리, 나무의 심장
시인의 언어로 받아적다
“내 심장과 뇌와 신장이 이미 식물과 비슷하게 생겼으니 얼마나 멋진 일인가?”라는 시인의 감탄은, 그가 욕망하는 대상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그가 언어의 힘을 얼마나 믿고 있는지 보여준다.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 이제는 기계의 언어까지 우리 사회에 자리 잡았다. 사회에서 언어는 존재의 증거이며, 소통의 도구이다. 그렇다면 언어가 없는 나무는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나무는 정말 언어가 없을까? 표정과 목소리의 높낮이, 제스처가 없는 나무는 어떻게 고통을 표출하며, 자신이 그 자리에 있음을 주장할 수 있을까?
인도의 식물학자 J. C 보스는 야생화 도둑놈의갈고리의 심장 박동과 같은 리듬을 듣고 기록할 수 있는 기계 ‘프토그래프’를 발명했다. 또한 외부 자극에 어떻게 반응을 하는지 식물을 꼬집고 고문한다. 그는 우리가 “의도적인 편견”을 버리면 식물이 직접 말을 걸어올 거라 기대했다. 하지만 로이는 이에 반대한다. 우리가 굳이 나무에게 반응을 이끌어낼 필요가 전혀 없으며, 나무는 언제나 그렇듯 침묵과 뿌리의 얽힘으로 말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눈에 보이고 귀에 들려야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이다.
또한 로이는 나무줄기보다는 나무뿌리를, 열매보다는 잎사귀를, 크기보다는 그림자를 관찰하고 이것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어쩌면 나무를 사랑하는 것과 욕망하는 것은 다른 것일지도 모른다. 로이는 나무를 욕망하고 있기 때문에 나무와 우리가 닮은 구석을 계속해서 발견하고, 만들어낸다. 볼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나무의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해 화분을 들고 엑스레이 촬영실을 찾아간다. 어린 시절에는 망고 열매 줍기 시합에서 망고 그림자를 바구니에 잔뜩 담아간 적도 있다. 로이는 아무리 낯설고 불가능해 보이는 욕망이더라도 자기 내부에 집중하여 맥락을 형성했고, 자기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당위성을 획득했다.
추천사
“아름답다. 모든 장에 걸쳐 과학, 자연, 개인적 서사, 문학, 사회학 등을 엮었다. 독자들이 계속 페이지를 넘기게 하고 우리 모두를 나무 애호가로 만든다.” -《더 럼퍼스》
“가장 독창적이고 유쾌하며 영감을 주는 책. 독특한 상상력, 유머러스한 문체, 관습에 대한 도전으로 독자를 매혹하고 감동시킬 것이다.” -예일대학교
“수마나 로이는 복잡하고 도발적인 방식으로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어 나무를 ‘낯선 이방인’으로, 우리가 생각하고 기억하는 동반자이자 우리 인간에게서 사랑과 증오, 무관심, 심지어 욕망을 끌어내는 외계 존재로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빛나고 경이로운 책을 썼다.” -로버트 맥팔레인, 《산에 오르는 마음》 저자
“수마나 로이는 길가메시 서사시만큼이나 오래된 주제, 혹은 살아있는 가장 오래된 나무만큼이나 오래된 주제를 신선하고 놀라운 방식으로 풀어썼다.”- 로버트 무어, 《온 트레일스》 저자
지은이 수마나 로이 Sumana Roy
인도의 시인이자 소설가. 첫 소설 《닭의 목에 걸린 사랑Love in the Chicken's Neck》이 2008년 '맨아시아문학상' 최종 후보에 오르며 문단에 등장했다. 이후 10년 만에 출간한 자전적 에세이 《내 속에는 나무가 자란다》는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문학상 '샤크티 바트상'과 '사히트야 아카데미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미국, 프랑스, 독일에 번역 출간되었으며, 《더 럼퍼스》 《도이칠란트풍크 쿨투어》 등 해외 평단에서 광대한 역사를 탐구한 방식과 독창적 상상력과 문체를 인정받았다. 현재 아쇼카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시집 《강의 계획서 밖에서Out of Syllabus》 《V. I. P 가장 중요한 식물V. I. P. Very Important Plant》, 소설 《실종Missing》 《엄마의 연인과 그 밖의 이야기들My Mother's Lover and Other Stories》 등이 있다.
옮긴이
남길영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기업체 및 대학에서 강의를 해오며 전문 번역가의 길을 걷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캐릭터의 탄생》 《교황 연대기》 《Dear Dad: 아빠 사랑해요》 《남자의 고전》 《내 이름은 버터》 《토니 스피어스의 천하무적 우주선》 《토니 스피어스와 수상한 물방울》 《잭과 천재들1: 지구의 끝 남극에 가다》 《잭과 천재들2: 깊고 어두운 바다 밑에서》 등이 있다.
황정하
연세대학교 전산과학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살인자들과의 인터뷰》 《개로 길러진 아이》 《나이 들어 외국어라니》 《진단명 사이코패스》 《자전거 세계여행》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교양 7》 《앙코르: 장엄한 크메르 문명》 외 다수가 있다.
책 속으로
먼 옛날에는 분명 사람도 나무와 같은 리듬으로 움직이며 같은 시간을 살았을 것이다.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누군가 태어나고 무언가 시작할 때마다 나무를 심었다. 〈나무의 시간으로 살기〉14쪽
나는 가끔 커다란 나무에 기대어 피사의 사탑을 생각한다. 사람들은 살짝 기울어진 건축물에 왜 그리 감탄할까? 가로, 세로는 물론 온갖 이상한 각도와 형태로 자라나는 나무의 뛰어난 능력에는 아무도 놀라지 않으면서. 〈식물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30쪽
나는 점점 잠깐 누리는 느린 시간에 중독되었다. 그 영향은 글에도 나타나기 시작해서 문장에서 구두점은 물론 단락 같은 단위도 점점 줄어들었다. 이런 것들은 느린 나무의 언어에 비해 너무 주제넘고 인위적인 것 같았다. 나무처럼 글을 쓰는 것이 가능할까? 〈나무 사진 찍는 방법〉97쪽
어스름 내리는 땅 위에서 팔다리와 그 그림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노닐고, 각도와 빛과 그 외 모든 것이 맞아떨어지는 운 좋은 날이면 나와 내 그림자는 어느새 나무가, 그것도 막 새잎이 움틀 것만 같은 가지를 마음껏 펼친 나무가 된다. 〈나무 그림자 되기〉123쪽
“이 장소의 이름이 뭐예요?”
“숲이라고 해.”
“여기서 쉴 수 있다는 뜻이네요.”
아이는 단어의 명백한 어원을 쪼개었고, 우리는 의자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로 고쳐 앉았다. 나는 그전까지 숲forest을 ‘휴식for rest’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숲에서 길을 잃는다는 것〉233쪽
목차
1장
나무의 시간으로 살기 11
언제나 꽃이었던 여자들 17
식물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 26
나무로 변신한 여자들 32
나무의 목소리를 듣다 42
2장
나무 그리는 방법 53
잎사귀의 매력적인 이야기 72
최초의 책은 나무다 82
강철 나무의 심장 89
나무 사진 찍는 방법 96
3장
나무의 초상화 101
열매 그림자 줍기 103
식물의 엑스레이 113
나무에게 빛을 먹이다 121
나무 그림자 되기 123
4장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정원 127
나무가 있던 어린 시절 145
5장
나무와의 로맨틱한 포옹 161
식물 애호의 징후들 168
6장
나의 식물 자손에게 185
식물학자의 슬픈 고백 190
정원이 품은 욕망 214
7장
숲에서 길을 잃는다는 것 235
신앙이 된 숲 249
숲이라는 아름다운 망각 252
8장
나무 아래, 행복한 땅 279
부처와 보리수 286
9장
죽음을 노래하는 나무들 311
나무로 다시 태어나다 331
나는 어떻게 나무가 되었나 345
에필로그 349
주 350
참고문헌 357
▼도서자료 다운로드▼